다리야 돔라체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리야 돔라체바는 벨라루스 출신의 바이애슬론 선수이다. 1986년 민스크에서 태어나 러시아에서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시작했으며, 1999년 바이애슬론으로 전향했다. 2004년 벨라루스로 돌아와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3관왕을 차지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은메달 1개와 금메달 1개를 추가했다. 2018년 은퇴했으며, 바이애슬론 월드컵 종합 우승 1회,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개를 포함하여 여러 차례 입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의 올림픽 바이애슬론 참가 선수 - 나제야 스카르지나
벨라루스 출신 나제야 스카르지나는 바이애슬론과 스키 점프 선수로,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12.5km 매스 스타트 동메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금메달을 획득하고 월드컵에서도 상위권에 오른 선수이다.
| 다리야 돔라체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전체 이름 | 다리야 울라지미라우나 돔라체바 |
| 별칭 | 해당 없음 |
| 출생일 | 1986년 8월 3일 |
| 출생지 |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민스크 (현재의 벨라루스) |
| 신장 | 1.68m |
| 배우자 |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 (2016년 7월 16일 결혼) |
| 클럽 | 디나모 민스크 |
| 웹사이트 | 다리야 돔라체바 공식 웹사이트 |
| 경력 | |
| 종목 | 바이애슬론 |
| 올림픽 참가 | 3회 (2010년 동계 올림픽, 2014년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올림픽) |
| 올림픽 메달 | 금 4, 은 1, 동 1 |
| 세계 선수권 참가 | 8회 (2007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2008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2009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2010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2011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2012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2013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2015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2017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
| 세계 선수권 메달 | 금 2, 은 4, 동 1 |
| 월드컵 시즌 | 9회 |
| 월드컵 우승 | 34회 |
| 월드컵 포디움 | 81회 |
| 월드컵 종합 우승 | 1회 |
| 월드컵 타이틀 | 5회 |
| 올림픽 메달 | |
| 금메달 |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15km 개인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10km 추적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12.5km 매스스타트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4×6 km 계주 |
| 은메달 |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12.5 km 매스스타트 |
| 동메달 |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15km 개인 |
| 세계 선수권 메달 | |
| 금메달 | 2012 루폴딩 10km 추적 2013 노베메스토 12.5 km 매스스타트 |
| 은메달 | 2008 외스테르순드 혼성 계주 2011 한티만시스크 12.5 km 매스스타트 2012 루폴딩 7.5km 스프린트 2017 호흐필첸 10km 추적 |
| 동메달 | 2011 한티만시스크 4×6 km 계주 |
| 주니어 세계 선수권 메달 | |
| 은메달 | 2007 마르텔 7.5 km 스프린트 2007 마르텔 10 km 추적 |
| 동메달 | 2006 프레스크 아일 10 km 추적 |
| 청소년 세계 선수권 메달 | |
| 금메달 | 2005 콘티올라티 6 km 스프린트 2005 콘티올라티 7.5 km 추적 |
2. 생애와 경력
돔라체바는 1999년부터 바이애슬론을 시작했으며, 2005년부터 벨라루스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스프린트와 추적 종목 금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2006-2007 시즌부터 바이애슬론 월드컵에 참가했다.
2008년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 혼성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15km 개인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추적, 2013년에는 매스 스타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는 10km 추적, 15km 개인, 12.5km 매스 스타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3관왕을 달성했다.
2. 1. 초기 생애
1986년 소련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민스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부모를 따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시베리아 한티만시 자치구 냐간으로 이주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시작했으며, 1999년 바이애슬론으로 전향해 러시아 대표 청소년 선수로 육성되었다.[11] 네 살 때 건축가인 부모님은 시베리아의 작은 도시인 냐간으로 이사했다. 여섯 살 때 스키를 시작했고,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주에서 여자 경쟁자가 없었기 때문에 남자들과 경쟁했다. 1999년 냐간에 바이애슬론 학교가 개교하면서 바이애슬론을 시작했다.2004년 벨라루스로 돌아가 2005년 벨라루스 청소년 국가대표로 국제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11] 2003년 가족은 민스크로 돌아왔다. 민스크에는 스포츠 경영 학부가 없었기 때문에 벨라루스 국립 경제 대학교에서 관광 경영을 공부했다.[11] 2009년 관광 산업에서의 광고라는 주제로 졸업 논문을 쓰고 있었다.[12] 2014년까지 소련 시대부터 이름을 유지해 온 몇 안 되는 기관 중 하나인 보안 기관 KGB의 벨라루스 지부 직원으로 근무했다.[13]
2. 2. 벨라루스 국가대표
돔라체바는 2004년 벨라루스로 돌아가 2005년부터 벨라루스 청소년 국가대표로 국제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11] 2006년 벨라루스 국가대표 바이애슬론 팀에 합류했다. 2009년 대한민국 평창에서 열린 2009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에서 추적, 단체출발, 계주에서 각각 5위, 6위, 4위를 기록했다.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2010년 동계 올림픽 15km 개인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1] 이후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2014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10km 추적, 15km 개인, 12.5km 단체출발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해 이 대회 첫 번째 3관왕에 올랐다.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돔라체바는 매스 스타트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벨라루스 팀이 계주에서 역사적인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7]
2. 3. 올림픽 3관왕
2010년 동계 올림픽 15km 개인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1] 이후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2014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10km 추적, 15km 개인, 12.5km 단체출발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해 이 대회 첫 번째 3관왕에 올랐다.[11]2. 4. 은퇴와 이후
돔라체바는 2015년 8월 단핵구증 진단을 받아 2015-16 월드컵 시즌을 건너뛰기로 결정했다.[3][4][5] 2016년 4월 임신 사실을 확인,[6] 2017년에 복귀할 계획을 밝혔다. 2016-17 시즌을 위해 2017년 1월 월드컵에 복귀, 2018년 동계 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2017년 세계 선수권 추적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매스 스타트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벨라루스 팀의 릴레이 첫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7] 2018 시즌을 바이애슬론 월드컵 전체 3위로 마친 후, 6월에 엘리트 스포츠와 육아 병행의 어려움을 이유로 은퇴를 발표했다. 벨라루스 독립 국가로 경쟁한 동계 또는 하계 올림픽 선수 중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선수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019년 9월, 남편 올레 아이나르 비에른달렌과 함께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준비하는 중국 팀의 바이애슬론 코치로 임명되었다.[9]2. 5. 개인사
1986년 소련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민스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부모를 따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시베리아 한티만시 자치구 냐간으로 이주하였다. 여섯 살 때부터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시작했으나, 여자 경쟁자가 없어 남자들과 경쟁해야 했다.[11] 1999년 냐간에 바이애슬론 학교가 개교하면서 바이애슬론으로 전향했다.2003년 가족이 민스크로 돌아왔고, 돔라체바는 벨라루스 국립 경제 대학교에서 관광 경영을 전공했다.[11] 2009년에는 관광 산업 광고를 주제로 졸업 논문을 썼다.[12] 2014년까지 KGB 벨라루스 지부에서 근무했다.[13]
2016년 4월 5일, 노르웨이 바이애슬론 선수 올레 아이나르 비에른달렌은 돔라체바와 교제 중이며, 2016년 10월에 첫 아이를 출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14] 두 사람은 2016년 7월 16일에 결혼했고,[15] 2016년 10월 1일에 딸 크세니아가 태어났다.[16] 돔라체바는 딸을 키우기 위해 2018년 6월에 선수 생활에서 은퇴했다.[17]
2020년 벨라루스 시위 동안 돔라체바는 폭도들에게 폭력을 중단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18]
3. 수상
| 시즌 | 종합 | 스프린트 | 추적 | 개인 | 매스 스타트 | ||||||||||
|---|---|---|---|---|---|---|---|---|---|---|---|---|---|---|---|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
| 2006/07 | 16/27 | 297 | 22위 | 9/10 | 164 | 15위 | 6/8 | 125 | 15위 | 0/4 | – | – | 1/5 | 8 | 42위 |
| 2007/08 | 18/26 | 226 | 26위 | 10/10 | 124 | 18위 | 6/8 | 76 | 22위 | 0/3 | – | – | 2/5 | 26 | 34위 |
| 2008/09 | 23/26 | 776 | 7위 | 10/10 | 329 | 5위 | 6/7 | 214 | 8위 | 3/4 | 87 | 14위 | 4/5 | 146 | 7위 |
| 2009/10 | 22/25 | 770 | 6위 | 9/10 | 283 | 6위 | 5/6 | 199 | 4위 | 3/4 | 121 | 4위 | 5/5 | 140 | 8위 |
| 2010/11 | 26/26 | 862 | 6위 | 10/10 | 323 | 7위 | 7/7 | 252 | 5위 | 4/4 | 51 | 29위 | 5/5 | 236 | 1위 |
| 2011/12 | 26/26 | 1188 | 2위 | 10/10 | 471 | 2위 | 8/8 | 392 | 1위 | 3/3 | 116 | 3위 | 5/5 | 250 | 1위 |
| 2012/13 | 26/26 | 924 | 2위 | 10/10 | 351 | 2위 | 8/8 | 251 | 6위 | 3/3 | 122 | 3위 | 5/5 | 200 | 2위 |
| 2013/14 | 20/22 | 793 | 3위 | 8/9 | 254 | 3위 | 7/8 | 296 | 3위 | 2/2 | 92 | 2위 | 3/3 | 151 | 1위 |
| 2014/15 | 25/25 | 1092 | 1위 | 10/10 | 416 | 1위 | 7/7 | 347 | 2위 | 3/3 | 139 | 2위 | 5/5 | 206 | 3위 |
| 2016/17 | 16/26 | 394 | 24위 | 6/9 | 135 | 21위 | 6/9 | 161 | 19위 | 2/3 | 42 | 26위 | 2/5 | 56 | 29위 |
| 2017/18 | 18/22 | 804 | 3위 | 7/8 | 313 | 2위 | 5/7 | 237 | 5위 | 2/2 | 65 | 5위 | 4/5 | 189 | 4위 |
- 주요 국제 대회 수상 경력
2005 IBU 유스 및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핀란드 콘티올라티): 스프린트, 추적 금메달[2], 개인 40위
2006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미국 프레스크아일): 추적 동메달, 개인 4위
2007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마르텔): 스프린트, 추적 은메달[2]
2010년 동계 올림픽 (캐나다 휘슬러): 여자 15km 개인 동메달[11]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추적 금메달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 매스 스타트 금메달
2014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 3개[7]
2018년 동계 올림픽: 매스 스타트 은메달, 여자 계주 금메달 (벨라루스 대표팀)[7]
- 기타 수상
2010년: 벨라루스 올해의 여성 선수, 공훈 체육인 칭호[11]
2014년: 벨라루스 영웅 메달
4. 경기 기록
다리야 돔라체바는 1992년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1999년에 바이애슬론으로 전향했다.[11] 2006년부터 벨라루스 국가대표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05 IBU 유스 및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스프린트와 추적 경기에서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후 2006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추적 3위, 2007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스프린트와 추적에서 은메달 2개를 획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2]
2008/2009 시즌에는 월드컵에서 2번의 3위와 1번의 2위를 기록하며 정상급 선수로 발돋움했다.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개인 15km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11] 같은 해 3월에는 콘티올라티에서 열린 월드컵 스프린트와 추적 경기에서 연달아 우승했다.
이후 돔라체바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10번의 월드컵 우승을 추가했고,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추적,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 매스 스타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3개를 획득하며 벨라루스 영웅 칭호를 받았다.[11]
2015년 단핵구증으로 인해 2015-16 시즌을 건너뛰었지만,[3][4][5] 2016-17 시즌에 복귀하여 2018년 동계 올림픽을 준비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매스 스타트 은메달과 벨라루스 팀의 계주 금메달에 기여했다.[7]
돔라체바는 2011-2012 시즌 추적 및 매스 스타트 월드컵 우승, 2010-2011 시즌 매스 스타트 월드컵 우승, 2014-2015 시즌 종합 및 스프린트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IBU 월드컵,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결과'''
| 결과 | 개인 | 스프린트 | 추적 | 단체 출발 | 계주 | 혼성 계주 | 합계 | ||
|---|---|---|---|---|---|---|---|---|---|
| 개인 종목 | 단체 종목 | 전체 종목 | |||||||
| 1위 | – | – | – | – | – | – | – | – | 0 |
| 2위 | – | – | – | – | – | – | – | – | 0 |
| 3위 | – | – | – | – | – | – | – | – | 0 |
| 포디움 | – | – | – | – | – | – | – | – | 0 |
| 4–10 | – | 3 | 3 | – | 5 | – | 6 | 5 | 11 |
| 11–20 | – | 4 | 1 | – | 1 | 1 | 5 | 2 | 7 |
| 21–40 | – | 4 | 3 | 1 | – | – | 8 | – | 8 |
| 41–60 | – | 1 | – | – | – | – | 1 | – | 1 |
| 기타 | – | – | – | – | – | – | – | – | 0 |
| DNF | – | – | 1 | 1 | – | – | 2 | – | 2 |
| DSQ | – | – | – | – | – | – | – | – | 0 |
| 출전 | – | 12 | 8 | 2 | 6 | 1 | 22 | 7 | 29 |
'''월드컵 우승 기록'''
| 번호 | 시즌 | 날짜 | 장소 | 종목 | 레벨 |
|---|---|---|---|---|---|
| 1 | 2009/10 | 2010년 3월 13일 | 콘티올라티, 핀란드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2 | 2010년 3월 14일 | 콘티올라티, 핀란드 | 10km 추적 | 월드컵 | |
| 3 | 2010/11 | 2011년 3월 20일 | 오슬로 홀멘콜렌, 노르웨이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4 | 2011/12 | 2011년 12월 1일 | 외스테르순드, 스웨덴 | 15km 개인 | 월드컵 |
| 5 | 2011년 12월 10일 | 호흐필젠, 오스트리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6 | 2012년 1월 22일 | 안토홀츠, 이탈리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7 | 2012년 3월 4일 | 루폴딩, 독일 | 10km 추적 | 세계 선수권 대회 | |
| 8 | 2012년 3월 17일 | 한티만시스크, 러시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9 | 2012년 3월 18일 | 한티만시스크, 러시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10 | 2012/13 | 2012년 12월 7일 | 호흐필젠, 오스트리아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11 | 2013년 2월 17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12.5km 매스 스타트 | 세계 선수권 대회 | |
| 12 | 2013년 3월 7일 | 소치, 러시아 | 15km 개인 | 월드컵 | |
| 13 | 2013/14 | 2014년 1월 3일 | 오버호프, 독일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14 | 2014년 1월 4일 | 오버호프, 독일 | 10km 추적 | 월드컵 | |
| 15 | 2014년 2월 11일 | 소치, 러시아 | 10km 추적 | 동계 올림픽 | |
| 16 | 2014년 2월 14일 | 소치, 러시아 | 15km 개인 | 동계 올림픽 | |
| 17 | 2014년 2월 17일 | 소치, 러시아 | 12.5km 매스 스타트 | 동계 올림픽 | |
| 18 | 2014년 3월 9일 | 포클류카, 슬로베니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19 | 2014년 3월 20일 | 오슬로 홀멘콜렌, 노르웨이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20 | 2014/15 | 2014년 12월 4일 | 외스테르순드, 스웨덴 | 15km 개인 | 월드컵 |
| 21 | 2014년 12월 20일 | 포클류카, 슬로베니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22 | 2015년 1월 11일 | 오버호프, 독일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23 | 2015년 1월 18일 | 루폴딩, 독일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24 | 2015년 1월 23일 | 안토홀츠, 이탈리아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25 | 2015년 1월 24일 | 안토홀츠, 이탈리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26 | 2015년 2월 8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10km 추적 | 월드컵 | |
| 27 | 2015년 2월 14일 | 오슬로 홀멘콜렌, 노르웨이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28 | 2015년 3월 21일 | 한티만시스크, 러시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29 | 2017/18 | 2017년 12월 8일 | 호흐필젠, 오스트리아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30 | 2018년 1월 21일 | 안토홀츠, 이탈리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31 | 2018년 3월 9일 | 콘티올라티, 핀란드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32 | 2018년 3월 18일 | 오슬로 홀멘콜렌, 노르웨이 | 10km 추적 | 월드컵 | |
| 33 | 2018년 3월 23일 | 튜멘, 러시아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34 | 2018년 3월 25일 | 튜멘, 러시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4. 1. 올림픽
돔라체바는 2010년 동계 올림픽 여자 15km 개인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1]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3개를 획득하여 벨라루스 영웅 메달을 받았다.[11]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매스 스타트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벨라루스 팀의 릴레이 첫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7]
4. 2. 세계 선수권 대회
| 연도 | 개최지 | 개인 | 스프린트 | 추적 | 단체출발 | 계주 | 혼성계주 |
|---|---|---|---|---|---|---|---|
| 2007년 | 안테르셀바 | 미참가 | 13위 | 22위 | 기권 | 5위 | 13위 |
| 2008년 | 외스테르순드 | 미참가 | 46위 | 25위 | 미참가 | 5위 | |
| 2009년 | 평창 | 11위 | 53위 | 5위 | 6위 | 4위 | 9위 |
| 2010년 | 한티만시스크 | 올림픽 시즌으로 미개최 | 9위 | ||||
| 2011년 | 한티만시스크 | 19위 | 26위 | 35위 | 10위 | ||
| 2012년 | 루폴딩 | 25위 | 5위 | 4위 | 6위 | ||
| 2013년 | 노베메스토 | 33위 | 43위 | 25위 | 7위 | 11위 | |
| 2015년 | 콘티올라흐티 | 16위 | 25위 | 7위 | 4위 | 7위 | 4위 |
| 2016년 | 오슬로 홀멘콜렌 | - | - | - | - | - | - |
| 2017년 | 호흐필첸 | 13위 | 27위 | 19위 | 9위 | - | |
4. 3. 월드컵
다리야 돔라체바는 1999년 바이애슬론으로 전향하기 전까지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활동했다. 2008/2009 시즌에 2번의 3위와 1번의 2위를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2010년 3월 13일, 핀란드 콘티올라티에서 열린 스프린트 경기에서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고, 다음 날 추적 경기에서도 우승했다.[11] 2011~2013 시즌 사이에 10번의 월드컵 우승을 추가했으며, 2012년 추적, 2013년 매스 스타트에서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2015년 8월, 돔라체바는 단핵구증 진단으로 인해 2015–16 월드컵 시즌을 건너뛰었다.[3][4][5] 이후 2016–17 시즌에 복귀하여 2018년 동계 올림픽을 준비하며 2017년 세계 선수권 추적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돔라체바는 2011-2012 시즌에 [추적 월드컵]과 [매스 스타트 월드컵]에서 모두 우승했다. 2011-2012 시즌 [총 월드컵]에서는 마그달레나 노이네르(1216점)에 이어 1188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2010-2011 시즌에는 [매스 스타트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4-2015 시즌에는 총 1092점으로 종합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2위인 카이사 매캐래이넨보다 48점 높은 점수였다. 같은 시즌 [스프린트 월드컵] 타이틀도 획득했다.
돔라체바의 월드컵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 시즌 | 종합 | 스프린트 | 추적 | 개인 | 매스 스타트 | ||||||||||
|---|---|---|---|---|---|---|---|---|---|---|---|---|---|---|---|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경기 수 | 점수 | 순위 | |
| 2006/07 | 16/27 | 297 | 22위 | 9/10 | 164 | 15위 | 6/8 | 125 | 15위 | 0/4 | – | – | 1/5 | 8 | 42위 |
| 2007/08 | 18/26 | 226 | 26위 | 10/10 | 124 | 18위 | 6/8 | 76 | 22위 | 0/3 | – | – | 2/5 | 26 | 34위 |
| 2008/09 | 23/26 | 776 | 7위 | 10/10 | 329 | 5위 | 6/7 | 214 | 8위 | 3/4 | 87 | 14위 | 4/5 | 146 | 7위 |
| 2009/10 | 22/25 | 770 | 6위 | 9/10 | 283 | 6위 | 5/6 | 199 | 4위 | 3/4 | 121 | 4위 | 5/5 | 140 | 8위 |
| 2010/11 | 26/26 | 862 | 6위 | 10/10 | 323 | 7위 | 7/7 | 252 | 5위 | 4/4 | 51 | 29위 | 5/5 | 236 | 1위 |
| 2011/12 | 26/26 | 1188 | 2위 | 10/10 | 471 | 2위 | 8/8 | 392 | 1위 | 3/3 | 116 | 3위 | 5/5 | 250 | 1위 |
| 2012/13 | 26/26 | 924 | 2위 | 10/10 | 351 | 2위 | 8/8 | 251 | 6위 | 3/3 | 122 | 3위 | 5/5 | 200 | 2위 |
| 2013/14 | 20/22 | 793 | 3위 | 8/9 | 254 | 3위 | 7/8 | 296 | 3위 | 2/2 | 92 | 2위 | 3/3 | 151 | 1위 |
| 2014/15 | 25/25 | 1092 | 1위 | 10/10 | 416 | 1위 | 7/7 | 347 | 2위 | 3/3 | 139 | 2위 | 5/5 | 206 | 3위 |
| 2015/16 | 단핵구증으로 인해 출전하지 않음 | ||||||||||||||
| 2016/17 | 16/26 | 394 | 24위 | 6/9 | 135 | 21위 | 6/9 | 161 | 19위 | 2/3 | 42 | 26위 | 2/5 | 56 | 29위 |
| 2017/18 | 18/22 | 804 | 3위 | 7/8 | 313 | 2위 | 5/7 | 237 | 5위 | 2/2 | 65 | 5위 | 4/5 | 189 | 4위 |
돔라체바는 월드컵에서 총 34번 우승했다. (스프린트 9회, 추적 11회, 개인 4회, 매스 스타트 10회)
| 번호 | 시즌 | 날짜 | 장소 | 종목 | 레벨 |
|---|---|---|---|---|---|
| 1 | 2009/10 | 2010년 3월 13일 | 콘티올라티, 핀란드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2 | 2010년 3월 14일 | 콘티올라티, 핀란드 | 10km 추적 | 월드컵 | |
| 3 | 2010/11 | 2011년 3월 20일 | 오슬로 홀멘콜렌, 노르웨이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4 | 2011/12 | 2011년 12월 1일 | 외스테르순드, 스웨덴 | 15km 개인 | 월드컵 |
| 5 | 2011년 12월 10일 | 호흐필젠, 오스트리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6 | 2012년 1월 22일 | 안토홀츠, 이탈리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7 | 2012년 3월 4일 | 루폴딩, 독일 | 10km 추적 | 세계 선수권 대회 | |
| 8 | 2012년 3월 17일 | 한티만시스크, 러시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9 | 2012년 3월 18일 | 한티만시스크, 러시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10 | 2012/13 | 2012년 12월 7일 | 호흐필젠, 오스트리아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11 | 2013년 2월 17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12.5km 매스 스타트 | 세계 선수권 대회 | |
| 12 | 2013년 3월 7일 | 소치, 러시아 | 15km 개인 | 월드컵 | |
| 13 | 2013/14 | 2014년 1월 3일 | 오버호프, 독일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14 | 2014년 1월 4일 | 오버호프, 독일 | 10km 추적 | 월드컵 | |
| 15 | 2014년 2월 11일 | 소치, 러시아 | 10km 추적 | 동계 올림픽 | |
| 16 | 2014년 2월 14일 | 소치, 러시아 | 15km 개인 | 동계 올림픽 | |
| 17 | 2014년 2월 17일 | 소치, 러시아 | 12.5km 매스 스타트 | 동계 올림픽 | |
| 18 | 2014년 3월 9일 | 포클류카, 슬로베니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19 | 2014년 3월 20일 | 오슬로 홀멘콜렌, 노르웨이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20 | 2014/15 | 2014년 12월 4일 | 외스테르순드, 스웨덴 | 15km 개인 | 월드컵 |
| 21 | 2014년 12월 20일 | 포클류카, 슬로베니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22 | 2015년 1월 11일 | 오버호프, 독일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23 | 2015년 1월 18일 | 루폴딩, 독일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24 | 2015년 1월 23일 | 안토홀츠, 이탈리아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25 | 2015년 1월 24일 | 안토홀츠, 이탈리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26 | 2015년 2월 8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10km 추적 | 월드컵 | |
| 27 | 2015년 2월 14일 | 오슬로 홀멘콜렌, 노르웨이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28 | 2015년 3월 21일 | 한티만시스크, 러시아 | 10km 추적 | 월드컵 | |
| 29 | 2017/18 | 2017년 12월 8일 | 호흐필젠, 오스트리아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30 | 2018년 1월 21일 | 안토홀츠, 이탈리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
| 31 | 2018년 3월 9일 | 콘티올라티, 핀란드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32 | 2018년 3월 18일 | 오슬로 홀멘콜렌, 노르웨이 | 10km 추적 | 월드컵 | |
| 33 | 2018년 3월 23일 | 튜멘, 러시아 | 7.5km 스프린트 | 월드컵 | |
| 34 | 2018년 3월 25일 | 튜멘, 러시아 | 12.5km 매스 스타트 | 월드컵 |
5. 기타
돔라체바는 2008년부터 2010년 동계 올림픽이 열린 밴쿠버 이후까지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신과 팀 동료, 다른 나라 선수들을 촬영했다. 500시간 분량의 자료를 편집하여 50분짜리 영화를 만들었는데, 이 영화는 봄철 휴식, 여름과 가을의 훈련, 12월과 3월 사이의 경기 시즌 등 세계적인 선수들의 1년 동안의 삶을 보여준다. 또한, 여러 나라 선수들이 함께 생활하고, 여행하며, 경쟁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참조
[1]
Sports-Reference
Darya Domracheva
https://www.sports-r[...]
[2]
웹사이트
Darya Domracheva
http://www.belarus.b[...]
2017-10-09
[3]
뉴스
Olympic champion Darya Domracheva to miss biathlon season
http://zeenews.india[...]
2015-08-05
[4]
웹사이트
Mononucleosis Hits Darya Domracheva
http://www3.biathlon[...]
2016-03-04
[5]
웹사이트
Darya Domracheva to Skip 2015–16 Biathlon Season
http://www3.biathlon[...]
2016-03-04
[6]
뉴스
Pregnant Domracheva plans to return to sport in January 2017
https://eng.belta.by[...]
2016-04-05
[7]
뉴스
BELARUS TAKE WOMEN'S BIATHLON 4X6KM RELAY GOLD
https://www.olympic.[...]
2018-02-22
[8]
웹사이트
Klaus Siebert: Biathlon is My Life
http://www3.biathlon[...]
2014-03-20
[9]
웹사이트
China continues big-name Winter Olympic coaching hires with biathlon king
https://olympics.nbc[...]
2019-09-23
[10]
웹사이트
IBU official result page
http://services.biat[...]
2011-03-01
[11]
웹사이트
Athletes: Darya Domracheva
http://www.sochi2014[...]
Organizing Committee of the XXII Olympic Winter Games and XI Paralympic Winter Games of 2014 in Sochi
2014-02-11
[12]
웹사이트
Domracheva-Interview: "Sports – rather than hanging around"
http://www5.biathlon[...]
2012-03-15
[13]
웹사이트
Former KGB agent wins biathlon gold medal for Belarus at Winter Olympics
https://www.theguard[...]
2018-02-22
[14]
웹사이트
Ole Einar Bjoerndalen eyes 7th Olympics, family with another Sochi superstar – OlympicTalk
http://olympics.nbcs[...]
2016-04-05
[15]
웹사이트
Ole Einar Bjørndalen – Timeline {{!}} Facebook
https://www.facebook[...]
2016-07-16
[16]
웹사이트
World's top biathlete returns three months after childbirth
http://olympics.nbcs[...]
2017-01-05
[17]
웹사이트
Четырехкратная олимпийская чемпионка Дарья Домрачева объявила о завершении карьеры
http://tass.ru/sport[...]
2018-06-25
[18]
웹사이트
Belarus' Best Sniper Domracheva Addresses to Riot Police
https://charter97.or[...]
[19]
웹사이트
Darya Domracheva. Representing Belarus
http://www.2b.by/fil[...]
2012-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